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웹 용어 정리 ( 계속 추가 )
    cs 2022. 2. 10. 15:46

     

     

     

    정적 사이트

    방문자에게 정보만을 보여주는 웹 사이트

     

    동적 사이트

    서비스와 기능까지 포함하는 웹 사이트

     

    클라이언트

    사용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http,dns 등) 혹은 사용자의 장치 (pc,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장치)

     

    서버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 웹 사이트에서 웹 서버 (iis, apche) 가 서버 역할을 하고 , 웹 브라우저 (파이어폭스, 크롬, 익스플로어) 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된다.

    난 왜 이게 이해가 안됐지 ;; 빡대가린가 하고 20분동안 검색 죤내 쳐햇네 ;;

     

    호스팅

    서버를 임대해주는 서비스

     

    트래픽

    서버에서 웹 사이트의 이미지, 동영상 등 데이터를 불러오는데에 사용되는 데이터 전송량

     

    HTTP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 (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프로토콜, 암호화 X, 노출 가능성 ㅇ)

     

    HTTPS

    HTTP의 보안 문제를 보완해주는 프로토콜

     

    SSL (보안 소켓 레이어)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데이터 보안을 위해 만들어짐

    (회원가입, 결제, 주문, 상담 등 개인 정보 취급 관련된 모든 사이트는 ssl 인증이 필수이며, ssl 구축 시 https 프로토콜 또한 구성할 수 있음)

     

    FTP

    서버에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서버 구축, 웹 페이지 구축에 필요한 이미지, 코드 파일 등을 업로드)

     

     DNS  (도메인 네임 서버)

    IP 주소를 문자로 변환 (125.209.222.141 > 네이버 도메인 주소)

     

     

    웹 표준 (Web standards)

    웹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나 규칙

    다양한 브라우저들이 모두 표준화 된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것이다. (W3C 권고안 이외 단계 수준은 비표준)

    *HTML5는 W3C에서 2014년에 공식 표준화

     

    웹 접근성 (Web accessibility)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웹 호환성 (Cross browsing)

    OS, 브라우저의 버전과 종류 상관 없이 유사한 화면으로 동일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구분 목적 준수 내용 차이
    웹 표준 웹의 사용성 및 접근성 보장 HTML, CSS 등에 대한 W3C규격 (문법) 준수
    (html,css,js 등 구조와 표현, 동작 분리 권고)
    웹의 내용, 표현, 동작에 관련된
    기술적인 표준
    웹 접근성 모든 사람이 차별없이 웹 정보 접근 W3C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WAI)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
    웹 호환성 웹의 OS, 브라우저 버전 종류와 상관 없이 웹 사이트 접근 웹 표준 준수를 통한 브라우저 호환성 확보
    (HTML,CSS 문법 준수)
    (동작,레이아웃, 플러그인 호환성)

     

     

     

Designed by Tistory.